2018년 전력소비량 경기도 국내 총 전력 22.6% 사용 전국 최다
경남도 전력자립률 ‘168.9%’↔경기도 전력자립률 ‘20%’

지방 분권이 강조되며 전력자립에 대한 필요성도 덩달아 강조되는 가운데 각 지자체들은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다양한 발전소 유치에 앞장서고 있지만 정작 전력을 많이 쓰는 지역은 따로 있다.

통영 역시 신재생에너지와 전력자립률 향상을 주장하며 LNG가스발전소, 욕지풍력발전 등 지역민의 갈등과 희생을 감수한 발전시설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국내 각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역은 경기도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력생산 구조와 소비 구조를 보면 지역이 수도권의 전력을 공급하는 배후지인 셈이다.

지난 5일 발표된 에너지경제연구원의 '2018 지역에너지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7년 전국 발전량은 55만3천530GWh로 같은 해 국내에서 사용한 전력량은 50만7천746GWh로 집계됐다.

전력을 가장 많이 생산한 지역은 충북으로 전국 발전량의 23.8%를 담당했고 경북(15.2%), 전남(11.9%), 인천(11.3%), 경기(11.2%), 경남(10.0%) 등으로 나타났다.

발전량과 달리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한 지역은 경기도로 전국 소비량의 22.6%에 해당하는 11만4천842GWh를 사용했다.

나머지 지역은 경남(6.8%), 충남(9.9%), 서울(9.1%), 경북(9.0%), 전남(6.6%) 등으로 조사됐다.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전력자립률이다. 2016년 기준 전국 평균 전력자립률은 108.7%로 발표됐다.

경상남도의 전력자립률이 168.9%에 이르는 와중에도 발전소를 유치하며 자립률을 올리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지만 경기도의 전력자립률은 20%에 불과하다.

108.7%라는 전국 평균 전력자립률은 석탄 화력이 집중된 경남을 비롯한 충남, 전남, 경북 등의 불평등한 희생으로 만들어진 평균 수치다.

이처럼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역이 다른 이유는 국내 발전소가 수도권을 제외한 일부 지역에 밀집됐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발전소가 기피 시설이다 보니 경기도나 서울 같은 인구 밀집지역은 전력을 많이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반대가 심해 발전소가 상대적으로 적다.

발전소를 유치하며 발생하는 환경오염이나 각종 피해에 대해서는 일부 지역이 부담하고 생산된 전기는 다른 지역이 누리는 상황인 것이다.

또한 다른 지역에 생산된 전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송전탑이 필요하다보니 송전선이 지나가는 지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송전탑 건설은 계속 진행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역균형발전이 아닌 지역차별적발전이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현재 전력구조를 두고 “대부분의 발전소들이 경기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밀집해 있다. 지역에서 전력을 생산해 인구밀집지역으로 공급하는 불균형한 구조다. 지방 분권과 함께 전력자급률이 강조되면서 전력공급을 두고 지역 간의 갈등이 심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상태로 지속될 경우 각 지역별 전기료 차이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특정 지역에 대형 발전소를 짓는 대신 태양광 등 다양한 소규모 발전 방식을 통해 전력 수요를 지역 내에서 해결하는 ‘분산형 전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